질문) 물가 안정화 방법엔 뭐가 있어?

by 익명
|
냉동실
|
조회 323
|
None
2022/06/13 15:27
2022/06/13 15:27
금리 인상, 관세 인하, FTA 정도 말곤 안 떠오르는데

자랑스러운 서강경제 여러분, 답을 알려주십쇼.
댓글 30개
|
조회 323

익명1
2022/06/13 15:28
open comment context menu
윤카가 알아서 내릴건데 걱정할 필요있음?

글쓴이
2022/06/13 15:30
open comment context menu
방법이 궁금해

익명2
2022/06/13 15:28
open comment context menu
금리인상

글쓴이
2022/06/13 15:30
open comment context menu
끝?

익명2
2022/06/13 15:35
open comment context menu
가장 효과적임

글쓴이
2022/06/13 15:36
open comment context menu
제발 물가가 잘 해결됐음 좋겠네

익명3
2022/06/13 15:30
open comment context menu
경제원리로 공산주의를 채택하면 아무 걱정 없다

글쓴이
2022/06/13 15:32
open comment context menu
구체적으로 어떻게? 계획경제를 하겠다는거야?

익명4
2022/06/13 15:35
open comment context menu
댐이나 방파제를 지으면 물가가 안정됨

글쓴이
2022/06/13 15:36
open comment context menu
SOC 사업에 투자를 하자는 거? 근데 긴축재정 추세에서 그게 가능한 지 궁금하네

익명5
2022/06/13 15:38
open comment context menu
삭제된 댓글입니다

글쓴이
2022/06/13 15:41
open comment context menu
사이드카는 선물가격이 폭등,폭락 할때 발동됩니다. 일단 ‘사이드카‘가 발동되면 프로그램매매가 5분간 정지됩니다. 물가에도 이게 ㄱㄴ?

글쓴이
2022/06/13 17:12
open comment context menu
헤에 덕분에 지식이 늘어따

익명6
2022/06/13 15:40
open comment context menu
금리인상으로 테이퍼링 환율상승 자산가격 하락 등 모든게가능한데 당연 이게 핵심이지. 금리인상 고작 한개? 하면서별거 아닌거 취급할건 아님.
공급 곡선이 움직여도 가격은 하락하는데 공급 부분은 정부가 직접적으로 건드릴수가 없는 분야니깐. 거시경제학 배웠으면 알거 아녀.

글쓴이
2022/06/13 15:41
open comment context menu
거시경제학 안 배워서 대신 너네한테 배우는 중... ㄱㅅㄱㅅ

익명7
2022/06/13 15:41
open comment context menu
금리인상이 직빵이지..

익명7
2022/06/13 15:41
open comment context menu
주가 곱창나는게 문제지만 ㅋㅋ

글쓴이
2022/06/13 15:42
open comment context menu

글쓴이
2022/06/13 15:42
open comment context menu
이때로 돌아가려나보네

익명8
2022/06/13 15:52
open comment context menu
일단 인플레이션 요인을 살펴봐야하는데...

사실 그냥 수요인플레이션쪽은 큰 문제가 아닌데 공급인플레가 문제지

왜냐면 저 위에 말하는 금리인상 이런것들이 결국엔 수요를 건드려서 물가를 안정시키는 방향이거든.

근데 지금은 러시아-우크라이나도 그렇고 그냥 뭐 반도체대란만 봐도 그렇고 코로나 이후에 기저효과로 수요가 늘어난 요인도 있지만 공급이 부족해서 인플레가 가속화된게 크단게 골칫거리인거임.

금리는 이미 어마어마하게 드라이브걸면서 급등을 하고 있고 계속 올릴 기세인데도 물가가 안잡히잖아. 왜? 그걸론 공급이 해소가 안되니까.

수요를 줄이면 수요공급 곡선상에서 가격이 내려가는건 맞아. 물가가 내려가겠지. 근데, 수요요인보다 공급요인이 더 큰 상황에서 수요는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고, 공급은 저걸로 해결이 안됨. 오히려 무리한 금리인상 등은 물가상승요인을 제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경기침체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그건 결국 스태그플레이션이라서 사람들이 경계하는거지 뭐.

그래서 어떻게 해야하냐고? 그냥 뭐 공급요인 해결되게 잘 노력하면서 금리인상속도 적절히 조절하면서 패닉은 안오게 하지만 너무 느리진 않게 수요조절도 해야하는 고난도 상황인거지

글쓴이
2022/06/13 16:08
open comment context menu
결국 한은에서 금리인상속도를 적절히 조정하도록 두고, 나머지는 우러전쟁 미중분쟁 기상이변 해결될 때 까지 기도하는 것 뿐이네...

익명9
2022/06/13 16:08
open comment context menu
미국러시아중국이 잘 지내면 해결됨

글쓴이
2022/06/13 16:09
open comment context menu
트럼프 푸틴 시진핑 다 혼내주고싶네

익명10
2022/06/13 16:34
open comment context menu
금리 인상이 직빵이고
그나마 할 수 있는건
전기료 인상을 늦추고, 유류세 낮추고, 최대한 공급망 안정화 노력하고 등등인데
대세를 엄청 바꾸는 것은 아닌 것 같고 인플레로인한 고통을 감소 시킬 수 는 있지

글쓴이
2022/06/13 16:51
open comment context menu
인플레가 무섭다는 걸 이번에 제대로 느낀다

익명11
2022/06/13 16:38
open comment context menu
트럼프?????

글쓴이
2022/06/13 16:51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때부터 미중무역분쟁 시작했잖아

익명12
2022/06/13 19:03
open comment context menu
트럼프가 뭘 할 수 있는데? ㅋㅋㅋㅋ

글쓴이
2022/06/13 19:32
open comment context menu
걍 혼 내주고 싶다고 ㅡㅡ;

익명10
2022/06/14 09:19
open comment context menu
슈카 보니까 트럼프였으면 사우디랑 관계가 좋아서 서유가를 어느정도 해결했을지도

익명11
2022/06/13 20:45
open comment context menu
물가 잡는 방법 딱 하나밖에 없음. 중국 분열임. 중국 분열되면 분열된 나라끼리 가격 경쟁 돌입하면 물가 상승 무조건 막아짐. 그리고 이제 중국 분열 타이밍임. 애초에 중국이 분열 지역이 3곳이상 동시에 일어나면 막을 방법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