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쿨이나 변호사 관심있는사람

by 익명
|
익게2
|
조회 1391
|
None
2022/07/12 19:56
2022/07/12 19:56
요즘 리트철이라서 많이들 고생하고 안타깝던데
로스쿨이나 변호사 생활 질문받으면 질문할사람 있을까?
17
0
댓글 43개
|
조회 1391

익명1
2022/07/12 19:59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네네네ㅔ

글쓴이
2022/07/12 20:02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관심 고마워요 질문해주세요~

익명2
2022/07/12 20:00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인상 깊은 사건 있나요?

글쓴이
2022/07/12 20:04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민사나 형사는 좀 정형적인 사건들 위주로 해서 막 기억에 남는건 별로 없는데
가사사건에서는 기상천외한것들이 좀 있었어요 자세히는 말할 수 없지만 전통적인 가족형태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의 갈등이나 외도 등...

익명3
2022/07/12 20:03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손흥민 조아해요?

글쓴이
2022/07/12 20:05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유명한 선수라 응원하지만 축구를 안봐서 잘 몰라요

익명4
2022/07/12 20:06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말을 잘 못하는 편이면 변호사 일 하기 많이 힘들까요

글쓴이
2022/07/12 20:09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좀 있던데, 진짜 진짜 아니에요.
'변호사 일'이라는게 좀 광범위한데, 일단 업무로 좁혀서 보면 재판나가서는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한마디만 하면 되니까요. 오히려 글을 쓰는걸 힘들어 하는 경우에는 업무가 괴로울 수 있습니다 그것도 엄청...
근데 의뢰인과 커뮤니케이션하고 수임까지 나아가는 능력은 또 말을 잘 하는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이 부분이 중요한지 아닌지는 연차나 본인의 커리어에 따라서 많이 달라져요.
어쨌든 결론적으로 말을 잘 못해도 업무 잘 하실 수 있습니다.

익명4
2022/07/12 20:13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렇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익명5
2022/07/12 20:07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변호사시험울 한 번(또는 두 번)만에 못 붙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있을까요?

글쓴이
2022/07/12 20:11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이건 좀 조심스럽고 안타까운데...ㅠ
절대공부량이 좀 적거나, 쟁점파악을 잘 못하는 경우 성적이 더디게 오르더라고요. 그래도 열심히 하시면 대부분 좋은 결과로 마무리하십니다.

익명5
2022/07/12 20:13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렇군요...답변 감사드립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합격하기 위한 절대 공부량이 하루 기준 어느 정도인가요?

글쓴이
2022/07/12 20:17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변시를 위한 공부는 거진 로3때 이루어진다고 봐도 무방한데,
또 로1,2 때 열심히 해놓은 사람은 로3때 좀 더 수월하고, 반대의 경우는 아니고 그렇긴 해요
그래도 적당히 오전부터 적당히 저녁먹고 어느 정도까지, 대신 성실하게 공부하면 할만 하긴 해요. 어쨌거나 1등 할 필요는 없고 합격만 하면 되는 시험이니까.
대신 공부과정보다 시험치는 1주 동안은 체력적으로 진짜 괴롭습니다...ㅠ

익명6
2022/07/12 20:09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변호사 부러워용 ㅜ 돈도 마니 벌고 정년도 없고 ㅜ

글쓴이
2022/07/12 20:11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부러울 게 없는게 ㅠ 1. 돈은 천차만별이지만 전반적으로 썩 잘 벌지 못하고 2. 정해진 정년 나이는 없지만 근무 가능한 나이는 어느 정도 정해져있고 그렇게 길지도 않아요ㅠ

익명6
2022/07/12 20:16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나이 꽤 드신 것 같은 분들도 변호사로 계속 활동하시던데.. 근무 가능은 법인 같은 곳 말씀하시는 건가요?

글쓴이
2022/07/12 20:28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나이 들어도 자격증은 사라지지 않지만, 과연 클라이언트들이 나이많은 변호사에게 오려고 할까? 법리나 서면작성능력이 뒤쳐지지는 않을까? 의 고민이지요
물론 전문분야에서 실력을 키우시고 잘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오히려 그분들이 더 대단한 소수의 케이수일 수도 있을것같아요

익명7
2022/07/12 20:24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저는 변호사들이 법정에서 말하고 클라이언트들과 사건 조정하고 사건 고소장 쓰고 등 변호사 일 자체가 재밌을거 같은데 공부량과 들여야 하는 시간이 너무 큰 비용인거 같아요....
변호사보다 인풋이 덜 들어가면서 비슷한 일을 하는 직종이 있을까요?

글쓴이
2022/07/12 20:31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소송대리업무는 변호사만 가능하기때문에 비슷한 직종이 당장 떠오르지는 않네요. 사기업 법무팀 직원은 비슷한 일을 할 거 같기도 해요.
그런데 자격증 없이 비슷한 일을 하시다 보면 회의감이 들수도 있으니, 당장 급히 취업해야 할 사정이 없다면 로스쿨 진학도 괜찮은것같아요.

익명8
2022/07/12 20:34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변호사 일에 만족하시나요? 로스쿨 투자가 그 가치를 하는 것 같나요..? 직장인인데 기회비용 때문에 고민이네요. 일단 붙고 생각할 문제이지만요.

글쓴이
2022/07/12 20:38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사람마다 워낙 달라서 단정해서 말할 수가 없어요. 누군가에게는 엄청 큰 만족을, 누군가에게는 기나기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서 얻는 것은 별로 없는...
현재 직장을 다니고 있으면 기회비용을 고려할 때 경제적인 보상은 얻기 힘들거나 한참이 지나야 ROI를 넘길 수 있을지도 몰라요.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비금전적인 보상(사회적인 평가, 전문성, 이직의 자유, 연애시 좋게 봐줌, 부모님의 만족도)도 분명히 있는 직업이므로 두루두루 알아보기를 권해요.
보통 전 직장에서 만족했던 사람들은 로스쿨 와서 실망을 좀 하고, 전 직장에 대해 불만이 많았던 사람들은 진학 후 만족하는 경향이 있더라고요(당연하지만...)

익명8
2022/07/12 21:41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답변 감사합니다!

익명9
2022/07/12 20:43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이번에 변호사시험 드디어 컴퓨터로 바뀐다고하던데, 이게 체감이 많이될까요? 전 개인적으로 악필이라 좀 기뻐서요 :)

글쓴이
2022/07/12 21:12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안그래도 CBT도입 이야기가 있던데, 필체 나쁘신 분들한테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원래는 그러면 안되지만 교수님들도 사람이신 이상 글씨 잘 못쓰면 아무래도 구성점수를 좀 박하게 주셨을 것 같아요

익명10
2022/07/12 20:46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평상시에 근무시간은 어느정도인가요? 워라밸은 포기해야한다고 많이 들었어서 궁금합니다

글쓴이
2022/07/12 21:13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천차만별입니다. 사내변으로 가면 일반 직장인과 크게 다르지 않고요
보통 출근은 사기업보다 한두시간 늦게 하는 경우도 있고요. 대신 업무가 몰아칠 때는 엄청나기도 합니다. 본인이 희망하는 강도의 산업군으로 골라서 취업하기 용이하다는 게 자격증의 장점같아요.

익명10
2022/07/12 21:35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답변감사합니다

익명6
2022/07/12 20:49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렇군요.. 겉으로 봐서 제가 알고 있던 것들이 사실은 그랬군요..
다가오는 리트 조지면 재시를 하거나 박사유학을 나가야 하는데.. 어떻게 살지 고민이 많아지니 담배만 많이 태우고 집중도 안 되네요.. ㅜㅜ

글쓴이
2022/07/12 21:15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괜찮은 직업이긴 한데, 이 길이 꼭 정답은 아닙니다! 어느 방향으로든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익명6
2022/07/12 21:30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렇군요..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익명11
2022/07/12 21:01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Gpa 91점대는 리트 높게맞으면 인설 가능할까여?

글쓴이
2022/07/12 21:16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요즘 코로나로 인해서 지원자들의 학점이 많이 올라서,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절대로 불가능하냐? 하면 그건 아닌데, 동일 학교 타 지원자들보다 리트를 월등하게 잘 보셔야 할 것 같기는 해요

익명11
2022/07/12 21:32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답변 감사드립니다 ㅎㅎ

익명12
2022/07/12 21:06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1. 법학과목 하나도 안들은 쌩비법이고 현재 엔지니어로 일하는 중인데 로스쿨 가도 문제가 없을까요? 경제학+컴공 전공했고 학점은 4.3만점 4.0 조금 넘습니다.

2. 가장 중요한 재능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암기를 꽤 잘하는 편이긴 한데 워낙 로스쿨에 재능러들이 많으니 감이 잘 안오네요. 게다가 실무나 모의 재판 대회 이런 것들 가끔 영상을 보는데 너무 어려워보이더라구요.

글쓴이
2022/07/12 21:21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1. 저도 학부때 법학과목을 하나도 듣지 않았고, 생각보다 그런 분들이 많습니다. 초기에 적응하기 조금 낯설 수는 있어도, 선행학습 좀 하시면 충분히 잘 하실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재능을 꽤 타는 학문이에요.

2. (공부하기에) 가장 중요한 재능과, (변호사로서 업무를 하기에) 가장 중요한 재능이 다릅니다. 공부에는 역시나 이해력과 암기력, 정확한 쟁점추출능력일거고요, 업무시에는 위에 말한 대로 서면작성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겠네요. 암기 잘 하시는 편이면 여러 모로 유리합니다.

모의재판대회 영상으로 올라갈 정도면 로스쿨에서도 잘하시는 분들이 나간 것이고, 원래 잘 모르는 전문용어를 사용하면 더 어려워보이는 법이니까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학점도 준수하셔서 학업능력도 좋으실 것 같고요.
이공대 출신 분들은 보통 아예 확 잘하시거나, 아예 조금 고생하거나로 양분되는 경향은 있습니다.

익명13
2022/07/12 21:07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혹시 여자랑 원나잇하고 여자가 성폭행 당했다고 고소하면 보통 유죄인가요? 아무 증거도 없이 진술하는 상태에서용

글쓴이
2022/07/12 21:32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질문 의도가 무엇이신지 다소 조심스럽습니다. 아래 내용은 변호사로서가 아닌, 제 개인적인 의견임을 말씀드리는 면책 공고를 하겠습니다.

성범죄의 경우 실질적인 유죄추정이 된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런데 다른 여타 형사범죄와 조금 다른 느낌일 수는 있지만, 무죄추정의 원칙은 어쨌거나 형사법의 대 원칙이며 우리나라 사법기관이 그렇게 허술하게 운영되지만은 않습니다.
증거를 통해 범죄사실이 입증되어야 이에 대하여 유죄판결을 하는 것이며, 법원에서 아무런 증거도 없이 형벌이라는 무거운 책임을 함부로 지우지 않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다른 증거가 없는 경우 피해자의 진술이 증거가 되겠네요. 그 경우 진술의 일관성, 각종 정황에 따른 간접증거 등을 종합하여 실체진실에 부합하는 결정을 내리고자 노력합니다.

익명14
2022/07/12 21:11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로1인데 넘 힘들어요 ㅠㅠ

글쓴이
2022/07/12 21:33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원래 로1때가 제일 힘들때입니다ㅠ 방학기간에 일단 푹 쉬시고, 다음 학기 선행학습 열심히 하시고, 사례문제 많이 써보는 연습을 하세요. 여유있게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생각보다 별로 없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익명14
2022/07/13 00:32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감사합니다 선배님! 저도 3년 뒤에 선배님처럼 멋진 법조인 되고 싶어요 ㅠㅠ

익명15
2022/07/12 21:34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안녕하세요 저는 직장 재직 중인 리트 준비생입니다. 변호사들의 출산휴가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바로 로펌 들어가도 29,30 쯤 될 거 같고 30대 초반쯤에는 아이를 가지고는 싶은데 로펌 들어간지 몇년 안되었어도 출산휴가 낼 수 있는 분위기인가요?
아니면 중간에 로펌 나오고 아이 낳은 뒤에 다른 로펌으로 다시 재취업 느낌으로 해야 되는건가요?
사내변은 확실히 출산휴가 낼 수 있을 것 같은데
저는 로펌이나 로클럭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싶어서 관련해서 현직분들이 실질적으로 출산휴가 가능한지가 제일 궁금합니다…

글쓴이
2022/07/12 21:39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일단 '출산휴가'는 근로기준법상 반드시 부여하여야 하는 휴가이므로 이부분은 보장이 되는데, 아마 다미님은 '육아휴직' 여부를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요.
이게 정말로 로펌마다 천차만별입니다. 좀 규모있는 로펌들은 인재가 자원이라고 생각하면서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서 육아휴직 후에도 복직해서 근무하는 것을 지원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반면 중소형 로펌들은 당장 변호사 1인 인건비 나가는게 아쉬운 회사들이어서 육아휴직을 할 경우 이를 용인해주는 분위기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익명8
2022/07/12 21:41
냉동
open comment context menu
혹시 변호사 업무에 영업역량도 많이 중요할까요? 제가 접대하면서 영업하는 걸 확실히 못 하는 것 같아서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