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커리어
생활
족보실
윤석열(서울대 법학) VS 이준석(하버드 컴공)
학벌 대결하면 누가 이김?
댓글 10개
조회 181
익명1
2022/08/23 21:08
바꿔 말하면
한국 교육 받고 정시 서강대 입학루트 vs 외국인전형 서강대 국제학생 루트 인데 뭐가 힘들겠냐 상식적으로
한국 교육 받고 정시 서강대 입학루트 vs 외국인전형 서강대 국제학생 루트 인데 뭐가 힘들겠냐 상식적으로
익명2
2022/08/24 09:07
미국 명문대 아시안풀 존나작아서 피터지는거 모르노 ㅋㅋㅋ 정붕아 하버드같은곳에 보내겠다고 중국에서는 아프리카에 마을 하나 빌려다가 봉사활동 조작하고 한다
익명1
2022/08/24 15:11
그래서 우리나라 sky 오는 애들 역량이랑 한국인 정시 출신들 역량이 같다고 보냐? 해외 ivy 출신 동료들이랑 얘기 해봐도 별 이견 안나오는데 너 직장에 private ivy 출신 있음 똑같이 물어보든가
익명3
2022/08/25 02:18
유학생이 평균 점수 훨씬 높아요. 특히 동양인은 인종별 쿼터 따로 있고. 미국 명문대 학부 유학을 우리나라 와국인 전형이랑 비교를 하네.
익명3
2022/08/25 02:22
그리고 외고 출신이라 아이비리그급 다니는 애만 3명 있음.
국내대 출신 해외대 출신 다 같이 모여서 술마시면서 얘기해보면 정확한 비교는 불가임. 미국 고등학고 교육 과정이 IB AP로 두개로 나뉘고 수능이라고 볼수 있는 시험도 SAT ACT 두개로 나뉨. 에세이도 따로 보고, 각종 경시대회에 스포츠도까지 하는 경우도 있는지라, 어떤 교육 코스를 밟는지, 어떤 전략을 취하는지에 따라 정말 다 다름요.
국내대 출신 해외대 출신 다 같이 모여서 술마시면서 얘기해보면 정확한 비교는 불가임. 미국 고등학고 교육 과정이 IB AP로 두개로 나뉘고 수능이라고 볼수 있는 시험도 SAT ACT 두개로 나뉨. 에세이도 따로 보고, 각종 경시대회에 스포츠도까지 하는 경우도 있는지라, 어떤 교육 코스를 밟는지, 어떤 전략을 취하는지에 따라 정말 다 다름요.
익명1
2022/08/25 13:46
내가 직접 물어본 채널이 Columbia Econ. Alum 한 명, 그 아래티어 Cornell alum 그리고 퍼블릭에 UC Berkley alum 총 셋이고 들은 얘기도 많다. 전략도 많고 각자 가진 스펙으로 준비하는 코스 다르지만 백인애들이랑 다름. 너가 ivy 출신 애들이랑 일 해보고 직접 의견등 물어봐라
익명3
2022/08/28 17:06
예일, 컬럼비아 1명 씩, 다트머스 1명입니다 저는.
아이비 밑급까지 따지면 더 있고요.
애초에 어퍼매티브 액션 때문에 캘리포니아에 있는 제외하면 백인 흑인 동양인 따로 경쟁해요. 동양인은 안그래도 평균 스펙들이 높은데 이 구조때문에 서 동양인 평균 점수가 모든 인종보다 더 높은겁니다. 흑인과 동양인 sat평균 점수차이만 봐도 뭐.. 동양계는 동양계 미국인이나 유학생 구분 없이 같은 대학에 들어가려고 해도 평균 SAT 점수가 140점이 더 높아야 합니다.
당연히 영미권 대학 입시판에서 전략은 전부 다 다르죠. 제가 문제 삼는건 익1님이 말한 정시 서강대vs 외국인 서강대전형 구도인데, 설사 백번 양보해서 미국 내국인보다 미국 유학생이 더 쉽게 가는 대학이 있더 하더라도 이 정도차이는 진짜절대 아니에요..ㅋㅋㅋ 한국은 아예 유학생을 '정원외'로 따로 취급을해서 뽑잖아요.
이건 진짜 인종별 sat점수 차이만 봐도 알수있고, 유학생 점수 공개한 학교들만 봐도 알수 있습니다.
지금 저희가 학위 장사하려는 대학말고 적어도 영미권에서 명문대라는 소리 듣는 대학을 얘기하는거 맞죠? 워낙 많은 전략이 있고 스펙도 다양하지만 적어도 점수화되는 스펙, GPA, SAT 또는 ACT, AP 또는 IB점수는 동양계 미국인이랑 동양인 유학생 점수가 다른 인종과 내국인 보다 더 높아요.
아이비 밑급까지 따지면 더 있고요.
애초에 어퍼매티브 액션 때문에 캘리포니아에 있는 제외하면 백인 흑인 동양인 따로 경쟁해요. 동양인은 안그래도 평균 스펙들이 높은데 이 구조때문에 서 동양인 평균 점수가 모든 인종보다 더 높은겁니다. 흑인과 동양인 sat평균 점수차이만 봐도 뭐.. 동양계는 동양계 미국인이나 유학생 구분 없이 같은 대학에 들어가려고 해도 평균 SAT 점수가 140점이 더 높아야 합니다.
당연히 영미권 대학 입시판에서 전략은 전부 다 다르죠. 제가 문제 삼는건 익1님이 말한 정시 서강대vs 외국인 서강대전형 구도인데, 설사 백번 양보해서 미국 내국인보다 미국 유학생이 더 쉽게 가는 대학이 있더 하더라도 이 정도차이는 진짜절대 아니에요..ㅋㅋㅋ 한국은 아예 유학생을 '정원외'로 따로 취급을해서 뽑잖아요.
이건 진짜 인종별 sat점수 차이만 봐도 알수있고, 유학생 점수 공개한 학교들만 봐도 알수 있습니다.
지금 저희가 학위 장사하려는 대학말고 적어도 영미권에서 명문대라는 소리 듣는 대학을 얘기하는거 맞죠? 워낙 많은 전략이 있고 스펙도 다양하지만 적어도 점수화되는 스펙, GPA, SAT 또는 ACT, AP 또는 IB점수는 동양계 미국인이랑 동양인 유학생 점수가 다른 인종과 내국인 보다 더 높아요.
익명1
2022/08/28 17:46
제 커리어와 미국내 생활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무시하는데 다트머스 어느 스쿨 말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근무하는 회사 서류 패스하기도 어려운 컬리집니다. 미주리에 연구기관 둔 회사에서 일하는데 제 회사내 입지를 밝히면 제 말의 신빙성이 입증될까요? 그리고 본문에서 말하는 대학입시 난이도 차이를 지원자 역량으로 본다면 전자와 후자(non-white) 의 차이도 유의미합니다. 그리고 후자는 미국 사회 내 머저리티로 일하기 쉽지 않은 게 큰 차이기도 하구요. MIT, 스탠포드 출신 엔지니어들도 넘칩니다 이쪽 업계는요. 말씀하시고자 하는 바 아는데 애초에 관점이 달라요.
익명3
2022/08/25 02:23
비교 불가임. 그리고 이준석은 하버드 합격 통지 받기 전에 카이스트 재학중이었음.
익명4
2022/08/27 01:42
국내 관점으론 비교불가
글로벌기준으론 후자가 압살..
서울대는 미국 탑스쿨 이전에 싱가폴국립대라도 이겨야
글로벌기준으론 후자가 압살..
서울대는 미국 탑스쿨 이전에 싱가폴국립대라도 이겨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