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던 피터슨이 말하는 남녀 두뇌의 차이

by 익명
|
냉동실
|
조회 467
|
None
2022/09/15 01:15
2022/09/15 01:15



그러니까 남녀의 지능, IQ는 완벽히 같지만 

관심 영역이 남자는 사물, 여자는 사람으로 다른 경향이 있다는 것.

그 차이도 평균적으로는 크지는 않지만

다만 그 평균에서의 약간의 관심도 차이는 극단으로 갈수록 증폭되어서 

사물에 매우매우매우 관심있는 남자들은 사실상 남자들 뿐이라는 것.

그래서 수능 1등급, 노벨과학상 등등 이런 극단적인 소수의 영역으로 갈수록 남자가 많아진다는 것임

아무래도 과학, 수학 이런건 다 사물의 범주에 포함되잖아

댓글 40개
|
조회 467

익명1
2022/09/15 01:17
open comment context menu
이 아재 페미앵커랑 싸우던 아재 아니냐

글쓴이
2022/09/15 01:20
open comment context menu
ㅇㅇ 근데 기본적으로는 심리학 교수임

익명2
2022/09/15 01:21
open comment context menu
삭제된 댓글입니다

익명2
2022/09/15 01:22
open comment context menu
수리, 추론, 공간지각능력 등

익명3
2022/09/15 01:23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나마 현대사회 오니까 여자 남자가 좁혀지지
농경사회였어봐라 ㅋㅋㅋㅋㅋㅋ
그냥 힘쎈놈이 짱인데 결국 남성을 선호하는 사회가 될 수 밖에 없지

익명2
2022/09/15 01:24
open comment context menu
맞네 힘이 다였던 시대는 더 심했구나 ㅋㅋ

익명1
2022/09/15 01:24
open comment context menu
포텐셜 차이가 있다는 어디서 나온 말임?
읽어보고싶네

익명2
2022/09/15 01:25
open comment context menu
여성전용 주차장 보면 될듯

익명1
2022/09/15 01:27
open comment context menu
? 논문이 있을거아냐 그런 지능 포텐셜 차이에 대한

익명2
2022/09/15 01:28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래 좀 더 자세히 얘기해보자면 수능 통합된 지금 왜 수리영역에서 1,2 등급 남성 비율이 높고 더 최상위인 백분위 99 이상에선 더 차이가 날까? 남녀 모두 수능에 본인들의 노력을 최대한 투입할텐데 관심의 차이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지 이건

익명2
2022/09/15 01:29
open comment context menu
지능 포텐셜이란 건 내가 쓰는 표현인 거고 풀어서 말하자면 같은 노력을 투입했을 때 특정 분야에서 얼마나 더 나은 퍼포먼스를 보이느냐인 거임

익명2
2022/09/15 01:31
open comment context menu
요즘 워낙 이과 선호 추세라 여자애들도 이과로 몰리는데 관심도의 차이 때문에 여자애들이 수학, 과학에서 성적이 떨어진다? 말이 안 됨. 나도 수능 좋아서 공부한거 아니고 그냥 할만하니까 기계적으로 했을 뿐인데

익명1
2022/09/15 01:33
open comment context menu
위에 아재가 그건 극단의 문제라 그랬잖아
극단적인 범죄자들은 남성이 대부분이듯
극단에서는 남자가 두각을 나타내는 표준편차가 큰 집단이라고

익명1
2022/09/15 01:33
open comment context menu
오 여자애들 요즘 이과 더 마니감??

익명1
2022/09/15 01:35
open comment context menu
아 통합수능이라 상관없겠구나
근데 여자애들 관심도가 이과에 더 높게 나타남??
관심사가 그렇게 쉽게 안바뀔것같은데

더군다나 취업 뭔지도 모를 고등학생들일텐데

익명2
2022/09/15 01:37
open comment context menu
근데 수능 1~2등급인 상위 10%가 그렇게 극단인가 싶음. 지금 수학도 이과가 많고 과탐도 사탐보다 많이 응시함. 전체적 이과 쏠림 추세지. 나땐 35대 65였는데 놀랍다

익명2
2022/09/15 01:38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리고 수능에서 관심도가 의미없는게 그냥 응시자 대비 1등급 비율로 계산하면 되는 거임 예를들어 물리1 응시한 여학생이 2만명인데 1등급이 1천명이면 1000/20000으로 계산해서 비율만 보면 되는 거지

익명2
2022/09/15 01:40
open comment context menu
취업도 모를 고등학생이라니 요즘 고등학생들 학과 트랜드 빠삭한데? 언제적 얘기여... 나때만 해도 애들 과 보고 대학 낮추는 경우 허다했는데 지금 문이과 비율도 공부 던진 애들이 문과 비율 맞춰줘서 그렇지 상위 50%로 자르면 문이과 인원 차이 더 벌어져

익명1
2022/09/15 01:47
open comment context menu
15년도에 과탐비율 40%였는데 지금 45%래
그렇게 막 달라지진않은 것 같은데??

근데 학사따리끼리 수능가지고 뇌피셜 짜봤자 뭔소용임. 그냥 동일투입대비 아웃풋이 남자가 더 우월하다는 논문 있으면 주셈 너도 그런거 보고 얘기하는거일거 아냐 나는 계속 찾아보는데 걍 저 아재랑 동어반복 밖에 못찾겠음

익명3
2022/09/15 01:47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리고 과거로 갈 수록 폭력이나 이런거의 빈도는 말도 안되게 상승하니까 남자도 더 뒤진다 + 힘이 필요하니까 남성에 대한 요구가 말도 안되게 커진거라고 생각함

익명2
2022/09/15 01:56
open comment context menu
이젠 학사따리 수능 타령하네 ㅋㅋ 수능 상당히 고난이도인 지능시험인데 됐다 현실 부정하려는 애랑 더 나눌 얘긴 없다

익명1
2022/09/15 02:02
open comment context menu
....? 논문달라니까 갑자기 왜 수능무시하냐고 화냄;

수능 무시한것도 아니고 너나나나 생물학이든 심리학이든 전문가가 아니니 잘못된 결론 내릴 수도 있다는건데 솔직히 학부생이 알면 얼마나 안다고

그리고 성별에 따른 지능차이면 당연히 논문 있을텐데 링크 한줄 달라는게 그렇게 화낼일이냐 ㅠ

익명3
2022/09/15 02:02
open comment context menu
근데 인문대 가고 싶었으나 억지로 이과로 수능본 나 같은 케이스처럼
남자들이 이과 강요 받는거 없지 않아 있을껄?
이과는 떡락이든 뭐든 밥벌이는 하고 사니까

익명1
2022/09/15 02:03
open comment context menu
모르면 그냥 모르겠다고 해
난 좀더 찾아보다가 잘테니까

익명2
2022/09/15 02:04
open comment context menu
아니 걍 니가 지능 떨어지는 여자인 건 알겠으니까 이만하자

익명1
2022/09/15 02:07
open comment context menu
진짜 그런 논문없어??
너나 나보다 교수님들이 더 똑똑할것같은디;

익명4
2022/09/15 01:37
open comment context menu
좆같은 선동을 깨부수려면 저명한 심리학 박사의 말까지 인용해야함

익명5
2022/09/15 06:12
open comment context menu
ㄹㅇㅋㅋㅋㅋㅋㅋㅋ 극단으로 평가할수있는 어려운시험 cpa 변리사 행시 변시 합격자85~90퍼가 남자인데 ㅋㅋㅋㅋㅋㅋ

익명6
2022/09/15 08:11
open comment context menu
응시잘 비울은 50:50이겠지?

익명4
2022/09/15 08:30
open comment context menu
찾아보니까
변시 성비 55 45 씨파 70 30 행시 60 40 정도인데

익명5
2022/09/15 09:04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럼시험제도가 잘못됐다고볼수있겠네. 평균지능에서 남자가조금앞선다는거는 극단인 우수 집단에서는 월등하다는게 저 박사 통해서 입증됐으니까. 굳이 여자가 3~40%가 들어온다는건 제도가잘못된거아닌가 싶다. 그리고 남녀 인구 성비가 보통 50:50에 근접하니까 결국 근접하에서 남자가 앞서는게 지능이 더 높아서인듯

익명4
2022/09/15 11:54
open comment context menu
뭔소리야 문과직종에 여성이 많은건 당연한거지

익명1
2022/09/15 14:51
open comment context menu
2022 cpa랑 변시 남자비율 66%, 55%임
익5는 왤케 주작선동을 하냐 펨코남특징임?
참고로 응시율이랑 거의 근접함

익명7
2022/09/15 08:18
open comment context menu
저 말이 그니까 지능은 차이없다는거잖아 결국

익명6
2022/09/15 08:40
open comment context menu
얼마나 잘난게 없으면 남자가 여자보다 지능이 높다로 딸딸이치는건지 모르겠음

익명8
2022/09/15 09:49
open comment context menu
현대 사회에서 지능 높고 신체 능력도 더 좋은데 못나기 쉽지 않을 거 같은데 ㅋㅋ

익명6
2022/09/15 10:34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럼 그 지능과 신체능력으로 인싸라이프 즐기시지 왜 여기서 딸치는거냐? 이해가 안간다

익명9
2022/09/15 10:39
open comment context menu
익6은 뭘 읽은거냐? 독해력 실화?

익명8
2022/09/15 11:27
open comment context menu
감정적임의 극단에 있는 앤가보지
그러려니해~

익명6
2022/09/15 11:47
open comment context menu
독해력이 왜나옴
그냥 남녀의 지능 분포를 이야기하는게 본문 내용 아님?
평균은 비슷하다는게 본문 내용인데 왜 상위권 남성에 빙의해서 여성 전체의 지능을 후려치는거냐?

익명7
2022/09/15 12:29
open comment context menu
펨코남과 여시녀를 이해하려하지마라...그냥 사회부적응자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