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태가 이번에 똥싼거 자세히 설명해준다

by 익명
|
냉동실
|
조회 368
|
None
2022/10/23 00:32
2022/10/23 00:32
요약은 밑에 할게


1. 레고랜드 관련 사업을 강원도 산하 GJC란 공사에서 진행함.

2. GJC가 사업자금을 SPC통해서 유동화 방식으로 조달했고 이게 2050억. 근데 마지막 차환발행때 강원도가 지급보증을 함.

3. 김진태가 보니 GJC는 돈이 없고 결국 강원도가 지급보증으로 돈 줘야하는 상황이다보니 본인 생각인지 밑에 생각인지 개인 회생신청마냥 GJC를 회생신청시키고 채무경감 받으면 지급보증 안해도 되거나 덜해도 된다고 생각함. 실제 이 이슈가 시작된 첫 기자회견 보면 딱 그런 뉘앙스로 말함.

4. 근데 저걸 발표한게 9/28일. 기존 abcp 만기일이자 차환발행 예정일이 9/29일. 참고로 차환발행 수요는 spc 주관사인 bnk증권이 다 모아놨었음. 근데 대놓고 차주를 워크아웃시킬거라니 차환발행 수요 다 도망침. 결국 만기가 다음날 돌아왔고 GJC가 돈 못갚으니 강원도보고 내라고 했는데 안내고 쌩깜. 그냥 강원도는 원래계획대로 가려고 했던거로 보임.

5. 문제는, GJC가 채무경감이 되더라도 강원도 지급보증은 그냥 채무경감 전 2050억원을 전부 해주는거로 계약이 되어있었음. 걍 그냥 의미도 없는 짓으로 김진태가 기자회견하는 바람에 차환발행만 실패하고, 강원도도 미리 의회승인 못받았으니 지급보증할 2050억원을 못줘서 기한이익상실이 난거고 걍 쉽게 만기일에 강원도가 돈 주기로 했는데 안준거라 디폴트 난거임.

6. pf유동화는 지자체, 증권사, 건설사가 spc에서 발행하는 유동화증권에 신용공여를 해서 등급을 높여 발행하는 구조임. 근데 저 중에서 최고 안전하다 생각했던 지자체가 걍 깽판을 놔서 차환발행도 못하게 해놓고 지급보증 의무도 쌩까서 디폴트가 난 상황.

7. 당연히 이제 지자체보다 덜 안전한 증권사, 건설사는 더더욱 못믿게 되는거임.

8. pf쪽은 abcp나 abstb를 1~3개월 정도로 cash flow에 맞춰서 잘라서 발행한다음에 차환발행하는 식으로 자금조달이 되는데, 어라 지자체도 쌩까서 디폴트 시키는 마당에 이 증권사/건설사가 확약한건?? 하고 차환 안받겠다는 친구들이 생김. 그럼 만기가 됐으니 돈을 돌려줘야하는데 spc는 이미 사업에 돈을 투자했으니 당장 돈 못돌려줄거고 확약한 증권사/건설사에서 돌려줘야함.

8. 금요일에 그래서 뭐 키움증권이 확약한 A1(단기등급중 젤 높은 등급) abstb 1개월짜리가 10%로 겨우 매출성공하는 등 걍 개판이 됨. 저렇게라도 안찍으면 당장 디폴트 날 수 있으니 정크등급 금리마냥 높여서 찍는거임.

9. A1이 저런데 그 이하등급은 말할 것도 없고, 그냥 하루하루 개판되고 있는 중. 저러다가 금리를 높여도 차환발행 실패하면 걍 갚아야할건데 중소형 증권사같은데서 여유자금 모자라서 뭐 또 비슷하게 디폴트 낸다 하면 걍 그대로 개박살나는거임.

10. 다만, 자꾸 뭐 여기서 김진태가 지방채를 디폴트시켰느니, 회사채/공사채 수요예측 미매각 난게 김진태 때문이라느니... 지방채 디폴트는 아예 헛소리고 뭐 크레딧섹터 수요예측 미매각 그런건 간접적 영향은 있을 수 있는데, 이쪽은 그냥 금리가 존~~~나 상승하고 터지고 있으니까 이미 그 전부터 터지고 있던 문제고, 사실 뭐 쟤들은 pf쪽처럼 막 위험하고 이런 상황은 아님. 걍 좆같다 정도 문제인거고, pf쪽은 김진태때문에 진짜 좆되겠는데?? 분위기인거고.

뭐 예를 들어서 MBS는 원래 그냥 금리상승기가 문제가 아니라 시장상황따라 허구헌날 미매각 나는 트랜치가 생기는데, 걍 저거 구조상 주관사가 받아서 어떻게 돌려서 처리함. 손해를 좀 보냐 안보냐 문제랑 발행측에서도 금리대 손해를 보는 문제여서 그렇지. 



여튼 요약하면

1. 김진태가 뻘짓해서 spc가 발행한 abcp가 디폴트난거 맞다.

2. 저거 전적으로 김진태+강원도 잘못이 맞다.(가끔 기사보면 강원도 관계자들이 지들잘못 아니라고 우기던데 걍 얘들이 구조를 아예 몰라서 그렇고 지들잘못이 100퍼임)

3. 저거때매 pf유동화시장은 신용공여자에 대한 신뢰로 굴러가던 시장이 젤 신뢰도가 높은 데서 무너지면서 걍 붕괴수준이고 패닉상태는 맞다

4. 근데 뭐 저걸 자꾸 이상한데 붙여서 김진태가 여기 망쳐놨대 저기 망쳐놨대 하는건 걍 헛소리다.
댓글 14개
|
조회 368

글쓴이
2022/10/23 00:38
open comment context menu
걍 채권시장이 이미 개판난거 좀더 분위기 안좋게 만든거 김진태 역할이 있긴한데, 저걸로 좆되게 만들었다 라고 할정도까진 아니란거임. 걍 안그래도 분위기 안좋은데 저기서 똥을싸네 정도인데

김진태가 제대로 좆되게 만든건 pf유동화 시장이고, 여긴 진짜로 좆돼서 그냥 전쟁인 상황

익명1
2022/10/23 00:42
open comment context menu
ㄱㅅ

익명2
2022/10/23 00:46
open comment context menu
spc가 그 빵집 spc임?

글쓴이
2022/10/23 00:46
open comment context menu
아니 걍 유동화증권이란걸 발행할때 중간에 그냥 저거 발행용도로만 세우는 합법적 페이퍼컴퍼니라고 생각하면 됨

익명3
2022/10/23 00:46
open comment context menu
뿌직뿌직

익명4
2022/10/23 00:49
open comment context menu
김진태가 직접 망친 부분에서 끝나지않고 나비효과로 끝없이 퍼져나가는게 문제지

글쓴이
2022/10/23 01:05
open comment context menu
아 pf쪽이 터져서 증권사나 건설사 실제로 터졌다 하면 금융위기 충분히 올 수 있음 ㅇㅇ

근데 아마 그건 금융당국에서 어떻게든 막긴할거고... 사실 내가 채권시장 전반의 문제에 직접적으로 존나 크게 영향을 안줬다고 얘기하는거는 저게 강원도가 진짜 돈줄 여력이 안돼서 터진게 아니라 진태가 병신이라 뻘짓하다 저지랄난거라 그렇긴 함. 진짜 구조적으로 곪아있던게 터져서 문제생긴거면 존나 더 심각했을건데...

뭐 어쨌든 단기적으로는 개판만들어놓은 이슈가 맞고 그 단기기간동안 저걸로 실제 위험이 되는 이슈가 있는게 pf유동화시장이라 문제인거고, 저기서 진짜 사고가 추가로 터지지 않는 이상 채권시장 전반에서는 걍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소로는 작용하겠지만 다른 요소들이 영향을 더 많이 줄거임(글로벌 금리 움직임이라든지 등등)

익명5
2022/10/23 02:01
open comment context menu
이제 시작임
aaa채권 신용이 물거품된 순간 끝이지
이래서 전문가가 필요했는데

글쓴이
2022/10/23 04:32
open comment context menu
내가 글이랑 댓글에서 꾸준히 얘기하는거는, AAA채권 신용이 물거품난게 아니라 그냥 신용보강 구조로 자금조달해오던 pf유동화시장에서 신용보강 구조에 대한 신뢰를 물거품으로 만든게 이번 사건이란거임.

같은말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아예 다른 개념이야

익명6
2022/10/23 02:03
open comment context menu
저건 하나로 pf 시장 전체가 흔들릴만큼 큰 규모였음?

글쓴이
2022/10/23 04:29
open comment context menu
저거 사이즈가 큰게 아니라, 그냥 지자체 보증이 깨졌고 그거때문에 디폴트가 실제 발생해버린 사실이 중요했던거.

걍 저 abcp가 솔직히 뭐 레고랜드 관련 사업같은거 암거도 안보고도 a1 받을 수 있는건 강원도가 지급보증했단 사실인데, 강원도가 그걸 깨버려서 디폴트 났다는게 중요한거임

익명7
2022/10/23 05:20
open comment context menu
분위기 이런 와중에 위기 직전까지 몰고간 역대급 트롤링이지
당연히 시장분위기 좋은 상황이였으면 저런 트롤링해도 그냥저냥 넘어갈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이런 시장분위기에 개판을 쳐놓으니 pf발 위기 직전까지 간거 아님?
바로 지난주까지도 난리였고 저걸로 채권시장까지 깽판쳐졌는데
아직 완전히 수습된것도 아니고 여차저차 봉합된다고 해서 그게 그냥 pf만 조져놨고 채권시장은 원래 안좋았으니 갠찮다 하고 말일이 아님 -_-

익명8
2022/10/23 07:05
open comment context menu
둔촌은 참 안풀린다 ㅋㅋ

익명8
2022/10/23 07:06
open comment context menu
진태 때문에 조합원들 추분 순수 금융비용만 1억은 늘어났을듯 ㅋㅋㅋㅋㅋㅋ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