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커리어
생활
족보실
오늘 컴공일이 핫하긴 한데 이게 정게에 안 올라온게 놀랍다
댓글 4개
조회 186
익명1
2022/11/03 20:10
나쁜놈들이네
익명2
2022/11/03 20:48
내가 글로만 배운 유예생이라 잘 모르는데
저거 그냥 실리 챙긴거 아녀?
레고랜드처럼 꼭 해야만하는 이유가 있는겨?
저거 그냥 실리 챙긴거 아녀?
레고랜드처럼 꼭 해야만하는 이유가 있는겨?
익명3
2022/11/03 20:55
콜옵션 행사해서 돈 또 땡겨서 돌려막을 바에 그냥 지금 가지고 있는 채권 이자 계속 부담한다는 말이지.
익명4
2022/11/03 22:13
신종자본증권이나 영구채같은건 자본으로 인정되는데, 시장관행상 5년째 첫 콜데잇에 상환을 해주는게 국룰임. 걍 암묵적 합의정도로 보면됨. 그거 발행때 인수해가는 기관들은 만기가 매우 긴 채권이지만, 사실상 5년짜리 채권을 사는거로 하겠다 치고 사주는셈. 거래도 그렇게 되고.
이게 깨졌던게 09년에 우리은행이 미상환해서 난리가 났었고, KP물(우리나라가 해외에서 발행한 채권)에 대한 신용이 박살나서 발행이 확 힘들어진 적이 있어서 더더욱 이 암묵적 룰은 잘 지켜지고 있었음.
근데 사실 법적 강제성은 없음. 말그대로 관행임. 나름의 안전장치라고 해야하나.... 보통은 미상환시 200bp정도 발행금리가 스텝업되는 구조고 다음 콜날짜마다(6개월 혹은 1년마다) 50bp정도씩 계속 미상환시 발행금리가 스텝업되는 구조를 취해서 발행사입장에서도 그냥 상환 후 재발행이 유리했음. 금리하락기이기도 했고. 실제 흥국생명이 이번에 콜행사 안하면서 쿠폰이 4.4퍼대에서 6.7퍼대정도로 오를걸로 예상.
문제는 최근 금리가 너무 튀어서 문제였음. 지금 차환하려고 보니 8퍼를 준다해도 5억달러어치를 발행할 수 없는 상황. 그래서 걍 쌩상환을 하려고 했더니 쌩상환할 경우 자본이 줄어들어서 금감원이 보험사에 규제하는 RBC비율이 150퍼 이하로 떨어져서 규제상 쌩상환도 못하게 함.
그럼 10퍼 12퍼 발행금리를 올려서 어떻게든 발행을 하거나 걍 눈딱감고 ㄱㅅㄲ 소리 들으면서 콜 미행사 하거나인데... 걍 후자를 택한거지
이게 깨졌던게 09년에 우리은행이 미상환해서 난리가 났었고, KP물(우리나라가 해외에서 발행한 채권)에 대한 신용이 박살나서 발행이 확 힘들어진 적이 있어서 더더욱 이 암묵적 룰은 잘 지켜지고 있었음.
근데 사실 법적 강제성은 없음. 말그대로 관행임. 나름의 안전장치라고 해야하나.... 보통은 미상환시 200bp정도 발행금리가 스텝업되는 구조고 다음 콜날짜마다(6개월 혹은 1년마다) 50bp정도씩 계속 미상환시 발행금리가 스텝업되는 구조를 취해서 발행사입장에서도 그냥 상환 후 재발행이 유리했음. 금리하락기이기도 했고. 실제 흥국생명이 이번에 콜행사 안하면서 쿠폰이 4.4퍼대에서 6.7퍼대정도로 오를걸로 예상.
문제는 최근 금리가 너무 튀어서 문제였음. 지금 차환하려고 보니 8퍼를 준다해도 5억달러어치를 발행할 수 없는 상황. 그래서 걍 쌩상환을 하려고 했더니 쌩상환할 경우 자본이 줄어들어서 금감원이 보험사에 규제하는 RBC비율이 150퍼 이하로 떨어져서 규제상 쌩상환도 못하게 함.
그럼 10퍼 12퍼 발행금리를 올려서 어떻게든 발행을 하거나 걍 눈딱감고 ㄱㅅㄲ 소리 들으면서 콜 미행사 하거나인데... 걍 후자를 택한거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