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가 외모의 시대인 이유

by 익명
|
냉동실
|
조회 221
|
None
2022/12/25 13:29
2022/12/25 13:29
용산역 노숙자들도 최소한 아사하지 않는 현 상황에서
1단계 욕구인 생존욕구, 안정욕구가 채워진 상태
인간은 하나의 욕구가 충족되면 그 다음 단계의 욕구를 추구하는 동물
그래서 그 다음 단계의 욕구인 소속욕구와 사랑의 욕구를 채워야 하는 상황
소속욕구와 사랑의 욕구는 내가 누군가에 대해 호감을 가질 때 형성되는 욕구임
근데 외모가 호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
똑같은 말이라도 차은우가 치느냐 김제동이 하느냐에 따라 임팩트가 크게 갈리잖아 마찬가지임
그래서 21세기를 행복하게 누릴 수 있는 사람은 외모가 출중한 사람일 확률이 높다는 얘기임
하필이면 산업구조도 서비스업이 90퍼 가까이를 차지하네?
서비스업은 타인에게 본인이 대접받고 있다고 느끼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이다
당연히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외모가 출중한 사람이 제공했느냐 오크가 제공했느냐에 따라 호감/비호감이 크게 갈리겠지?
그래서 외모가 출중한 사람들일수록 지금 현 상황에서 돈을 더 많이 벌어들일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댓글 7개
|
조회 221

익명1
2022/12/25 13:31
open comment context menu
메슬로우 욕구 이론은 실체없는 허상이니 더 공부하고 오도록

글쓴이
2022/12/25 13:32
open comment context menu
왜?

익명1
2022/12/25 13:35
open comment context menu
반례가 많다 예를 들어 굶어가며 자아실현만 추구하는 도승이라든지

또는 인간은 여러 욕구를 동시에 추구하기도 하고

그 순서대로 일어나지 않기도 함 erg이론이라든지 동기부여 욕구 이론은 더 발전된 형태가 많음 메슬로우 욕구이론은 딱 그 정도의
한계

익명2
2022/12/25 13:36
open comment context menu
얘가 말하는건 메슬로우도 아니고 앨더퍼도 아니고 걍 어딘가 짬뽕해서 지 생각 써놓은거 같는데 ㅋㅋ

익명1
2022/12/25 13:42
open comment context menu
생각을 해라 이론 바탕으로

익명3
2022/12/25 15:30
open comment context menu
R관남 평균

글쓴이
2022/12/25 15:32
open comment context menu
GN이다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