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한국 남녀 임금 격차의 진실

by 익명
|
냉동실
|
조회 571
|
None
2023/02/21 15:19
2023/02/21 15:19




댓글 47개
|
조회 571

익명1
2023/02/21 15:32
open comment context menu
원인은 명확한데 엉뚱한 데 문제점이 있다고 가정하니까 이런 헛수고를 하는거

익명1
2023/02/21 15:34
open comment context menu
출처 로자갤이었노ㅋㅋ

익명2
2023/02/21 15:39
open comment context menu
원인이 무엇인데?

익명1
2023/02/21 15:51
open comment context menu
1. 업종이고 자시고 남녀가 다른 일을 하니까 다른 임금을 받는거임. ㅈㄴ 명확한 진리인데 이런 공리조차 무시하고 암튼 남여차별 있을거임하고 분석을 하니까 저런 식으로 논지가 전개되는거
단순히 통계 상으로 동일 업종으로 묶였다고 진짜 똑같은 일을 하는게 아님

2. 또 다른 이유로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육아휴직 쓰기가 어렵다는거. 특히 남자는 도저히 쓸 수가 없는 분위기니까 결국 여자가 애낳고 아주 쉬거나 복직해도 승진이나 능력에서 도태될수 밖에 없지

익명1
2023/02/21 15:52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래도 페미가 웬일로 숫자를 이용한게 기특하긴하네ㅋㅋ 왜곡 덩어리지만

글쓴이
2023/02/21 16:18
open comment context menu
1. 다른 나라도 똑같이 업종별로 묶었음에도 특히 한국에서 임금격차가 더 나는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시는지?

2. 동의. 그래서 다른 북유럽 국가들처럼 남자도 육아휴직 쓰는 걸 의무화하거나 국영 탁아소 같은 곳을 직장들 근처에 설치해야 한다고 봄.

추가) 페미니스트 아니고 여성해방론자임.

익명2
2023/02/21 16:22
open comment context menu
저 글 자체가 최소한 숫자만 놓고보면 다른 나라랑 남녀 직무 차이가 심하지 않다는걸 말한 글 아님?
저 글이 남녀의 직무 차이를 부정하는 글이 아니라
다른 나라 비교했을 때 직무 차이가 크지 않음에도 임금수준 격차가 심하다는걸 지적하는거 같은데

익명1
2023/02/21 16:35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러니까 그 직무 차이가 단순히 통계적으로 구분되는 업종만으로 설명되는게 아니라는거임
수많은 교란변수가 있겠지..
가령 같은 공업계열이라하더라도 유럽의 직무형태와 우리나라의 그것과는 다를 수 있고 같은 회사의 같은 부서안에서도 하는 일은 몹시 상이할 수 있음
또 노동시간도 그 변수가 될 수 있는데 글에서는 남여 간의 노동시간도 크지 않다고 하지만 업종(통계로 구분되는게 아니라 실질적인 업종 차이)별로 남녀별 노동시간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거임

마지막으로 진부한 표현이긴하지만 돈이 덜 든다면 기업은 침팬지를 고용해서라도 원가 절감하려하는 존재임

익명4
2023/02/21 16:38
open comment context menu
너도 숫자 좀 쓰고 근거 좀 가져와라
이럴수있음 저럴수있음 이러지말고
추측만 늘어놓는건 누가못하냐

익명1
2023/02/21 16:41
open comment context menu
연역적으로 반박할만한 문제니까 그러는거지ㅋㅋ 도대체 왜 같은 일을 하는데 다른 임금을 준다고 생각하는거냐고

익명4
2023/02/21 16:44
open comment context menu
난 오히려 궁금한게 왜 차별이 없어졌다고 생각하는거냐

성별차별있는게 디폴트고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게 기본전제 아니었음?
넌 20년전 30년전에도 남녀차별 없었다고 생각하는거임??

익명1
2023/02/21 16:45
open comment context menu
공업 내에서도 얼마나 많은 세부업종으로 구분되고 실질적인 업무는 훨씬더 세세하게 분류되는데 그저 공업, 서비스업, 광업 이런식으로 뭉뚱거려서 통계를 만들고 활용하는건 지나치게 연구자가 가치편향된거임

익명1
2023/02/21 16:47
open comment context menu
당연히 있다가 나아지는 추세지
윗댓에 육아휴직 문제점은 지적했잖아

익명1
2023/02/21 16:51
open comment context menu
또 임금 격차가 심하게 벌어지는 연차에 있는 세대와 지금 젊은 세대는 구분지어봐야지
니말대로 30년전에는 여성 사회진출이 지금보다 훨씬 제약됐지만 지금은 적어도 진출단계어서는 평등해졌으니까

익명4
2023/02/21 16:52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리고 시간/비용상의 제약사항으로 인해 어느 정도 뭉뚱그려서 연구하는건
당연한건데 (특히 사회과학에서는) 저정도 분류가 큰 문제가 되나 싶음
넌 세테리스 파리부스도 가치편향적이라 생각하냐??

또 원래 있다는게 전제면 없어졌다고 주장하는 쪽도 근거 가져와야 하는거아님?
왜 어느순간 사라졌다고 생각하는거냐

익명2
2023/02/21 16:55
open comment context menu
나도 너같은 통념을 갖고 있다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추론을 보고 생각을 유보한건데
단순히 숫자없이 근본 본질 얘기하는건 문제가 있는듯

우리나라가 완전시장에 노동시장을 맡기는 것도 아니고
동아시아만의 지나친 남녀임금격차가 온전히 생산성에 비례해서 존재한다고 보는 것도 이상한듯

FAANG같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다양성이나 양성에 진심인 것도
숫자로 잘 안잡히는 다양성이 주는 무언가가 분명히 있다고 봄

익명1
2023/02/21 17:07
open comment context menu
설명할 수 없는 격차는 무조건 성별 차이 때문이라는 기괴한 결론을 내리는데 기여하는게 그 뭉뚱한 분류 때문인데 중요한 문제지
익2 막문단은 논지에서 벗어났긴한데 개인적으로 아직 결론을 못내린 부분임

익명1
2023/02/21 17:09
open comment context menu
https://mnews.jtbc.co.kr/News/Article.aspx?news_id=NB11189500

익명1
2023/02/21 17:10
open comment context menu

익명1
2023/02/21 17:11
open comment context menu
대학입학~사회 진출 초반까지는 사실상 완전 평등하다고 봐도 무방함

익명1
2023/02/21 17:17
open comment context menu
개인적으로 아직 남아있는 경력단절여성 문제 해결 방안은 과학기술발전이라고 생각함
임신~출산 후까지 여성이 받는 생물학적 제약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면 상당부분 해결될거라고 봄

익명3
2023/02/21 17:19
open comment context menu
사회과학이면 통계적으로 대충 뭉뚱그려서 분류해서 분석해도 된다?

>>> 심슨 패러독스에 대해 공부하고 오도록

익명3
2023/02/21 16:28
open comment context menu
임금이 생산성에 비례한다고 봤을때 저렇게 변수들 다 컨트롤했는데도 남녀임금격차가 심하다면 한국여성들 생산성이 많이 떨어지나보네

글쓴이
2023/02/21 16:36
open comment context menu
실제 연구 대부분에서 임금과 생산성은 비례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임금을 많이 줘서 생산성이 높은지, 생산성이 높아서 임금을 많이 주는 지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익명4
2023/02/21 16:41
open comment context menu
니 말대로면 사대남이랑 586 생산성이 이대남 2배 수준이다 한국 세대별 임금차이 세계 상위권 수준임

익명3
2023/02/21 16:52
open comment context menu
실제 연구결과 언급할거면 탑5급 저널이나 AEJ 마이크로급 탑필드저널 연구결과라도 근거로 들고와야지 안그러면 어케아노

익명3
2023/02/21 16:54
open comment context menu
586하고 이대남 임금격차 큰건 자리만 보전하고 있으면 호봉 꾸역꾸역 오르는 조선식 노동시장 탓이 크지

익명2
2023/02/21 16:57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러니까 동아시아의 경직적인 연공급 제도도 분명 남녀임금수준 격차에 일조할 수 있는거지. 586 이대남과 이대남 이대녀랑 딱 취사해서 논리를 나눌게 아니라

익명4
2023/02/21 16:58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럼 기업들이 586 다 내보내고 이대남으로 채우면 원가절감 1/2 수준으로 씹가능인데 왜 안함?? 원가절감하려면 침팬지라도 고용하는게 기업이잖아

익명3
2023/02/21 17:05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거야 조선식 노동시장에서는 정규직으로 한번 알박으면 마음대로 못자르니까 당연히 이대남들이 싸면서 생산력까지 높다 쳐도 그렇게 못하지 ㅋㅋㅋ 미국같이 유연한 노동시장이면 왜 그렇게 안할까

익명4
2023/02/21 17:16
open comment context menu
조선이랑 비슷하게 해고 어려운 국가랑 비교해봐도 거기 50%차이인데 조선은 70%차이임 ㅋㅋ

익명3
2023/02/21 17:17
open comment context menu
어려운 국가 어디?

글쓴이
2023/02/21 17:29
open comment context menu
익3) 임금과 생산성 비례는 전공 수업에서 들은 거라 정확한 출처는 어렵지만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만큼 신뢰도는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비례한다 해도 순환 논리에 빠지게 되기 때문에 논쟁의 의미가 없습니다.

익명3
2023/02/21 17:40
open comment context menu
어느 전공인지도 모를 서강대 교수님 의견은 그럴지 몰라도 구글스칼라에 나오는 세계 연구자들 다수 의견은 생산성과 임금은 대체로 비례한다 일듯 하네요 ㅎㅎ 좀 속시원한 근거라도 있을줄 알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

글쓴이
2023/02/21 18:05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렇군요. 제 기억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임금증가율과 생산성증가율 관계일 수도 있고요. 정확하지 않은 정보 출처에는 죄송합니다.

익명6
2023/02/21 17:16
open comment context menu
저 글 대로면, 남자와 여자의 생산성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멍청하다는 결론밖에 안나온다. 신규직원을 여자들로만 채용하면 인건비를 무려 34%나 줄일 수 있는데 그러질 않고 있으니까.

익명6
2023/02/21 17:20
open comment context menu
만약 우리나라 기업이 멍청하다는 결론이 옳지 않다면 저 임금 차이는 생산성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봐야겠지. 예컨대 여자들은 개도국 파견근무를 유난히 꺼린다던가 그런 것들.

익명6
2023/02/21 17:30
open comment context menu
한가지 더 궁금한건 '같은 직종 근무자'에서 '같은 직종'의 범위가 어떻게 묶여있는지 여부임.
21년 기준 9급 합격자 중 여성 비율은 55%고 5급 합격자 중 여성 비율은 42%임. 그리고 9급과 5급 실수령 금액이 거의 2배 가까이 차이가 남.
이때 같은 공무원이라는 이유로 5급과 9급을 같은 직종이라고 그냥 퉁쳐버리면, 공무원은 호봉이 같으면 남녀 모두 같은 월급을 주고 있음에도, 남녀 간 임금격차가 있다는 이상한 결론이 나와버림.

익명2
2023/02/21 17:39
open comment context menu
우리나라 기업은 꽤나 멍청하다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음
왜냐면 우리나란 고용구조가 엄청나게 경직적이거든
그래서 여자가 출산 등으로 그만두면 기업 손실이 대단하고
이왕 뽑는거 남자를 뽑자 같은 결론이 나올 수도 있지

그리고 공무원을 예시로 들었지만
이는 공무원 조직이 상대적으로 육아휴직에 자유롭다는걸 배제할 수 없음
5급 직무는 애초에 극소수이니 유의미하다 생각치 않음

육아와 기업 생산성은 모두 사회재생산에 매우 중요하면서 배치되기에
지금 출산율과 남녀 임금격차가 동시에 뽑힌다고 생각함.

내 말의 요지는
세대간의 임금 격차와 남녀 간의 임금 격차는
둘다 실재하는 사회 문제이며
아마도 노동 경직성이라는 카테고리에 묶여있을 수 있다는거

익명3
2023/02/21 17:41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나마 익2 의견이 나하고 제일 비슷하네

익명6
2023/02/21 17:58
open comment context menu
내가 공무원을 예로 든건 남녀 간 다른 임금을 줄 수 없는 직종임에도 통계상으로는 마치 남녀 간 임금격차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임. 9급과 5급이 임금 격차가 드라마틱하기 때문에 5급, 9급만 얘기했지만 7급도 여성 합격자 비율이 40% 초반 수준으로 9급보다 훨씬 낮음.

근데 사실 내 생각도 익2랑 비슷한데, 저 지표가 '아 우리나라 기업들 남녀차별 좆되네' 라든가 '유리천장은 역시 존재해 시발' 이런걸 보여주는 지표가 아니라는 거임. 통계상 나타날 수 있는 남녀 공무원 간 임금 격차는 실제로 임금을 다르게 주기 때문이 아니라 입직 경로 상 차이인 것처럼 다른 요인때문에 임금격차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거든. '아몰랑 남녀차별이야'라기보단 저렇게 보이는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해야 할 점이 있다면 해결해야겠지. 그 원인 중 하나가 익2가 말한것처럼 노동경직성일 수도 있고.

글쓴이
2023/02/21 18:07
open comment context menu
다른 요인이 존재한다고 해도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특히 차이가 심한 거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다른 나라에도 그러한 요소가 없을 거라 단정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익명6
2023/02/21 18:44
open comment context menu
다른나라와 우리나라가 차이나는 이유는 더 깊은 연구를 통해서 알아내야지 여기서 이렇다 저렇다 얘기하긴 어렵지. 다른 자료 없이 여기서 얘기하는건 전부 추측일 수밖에 없음. 뭐 진짜로 단순히 성별때문에 주는 임금이 다를수도 있고... 근데 쓰니도 삼전하닉에서 동일 연차이고 같은 근무지에서 같은 직무를 수행하는 남녀 직원이 있을 때, 남녀라는 이유로 둘이 연봉이 다르다고 자신있게 주장 못할거같은데 ㅋㅋㅋ 아닌가?

중요한건 통계적으로 보이는 임금격차 그 자체가 아니라 격차가 왜 발생하는지, 그 격차가 발생하는 이유가 제도적 개선 등을 통해서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임. 그리고 너가 제시한 숫자들은 격차가 왜 발생하는지 아무런 설명을 하지 못함.

익명7
2023/02/22 14:01
open comment context menu
익 1에 동의하는게, 관리팀이나 설계팀 등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자리는 여자들이 많이 지원함. 반대로 밖으로 돌아다녀야 하는 영업팀에 여자가 지원한 것은 한 번도 못봄. 그리고 영업이 연봉을 더 많이 받고 승진이 더 빠르지.
건설업이니 이공계니 하면서 같은 직종이라고 묶지만, 하나의 회사가 한 직종으로 들어갈텐데 회사 내에서 무슨 일을 하느냐에 따라서도 이렇게 갈리는걸 고려하지 않으면 남녀 임금격차가 실존한다는 결론밖에 못 얻음.

익명7
2023/02/22 14:08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리고 이 글은 남녀임금격차가 실존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그것이 마치 문제인 듯이 말하지만, 남녀임금격차가 존재한다는 것만으로는 어떠한 함의도 없음. 남녀임금격차가 있고, 그것이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것이라면 굳이 제도적으로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없는것임. 임금격차가 개인의 힘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문제이고, 그것이 개인의 선택을 제한한다고 할 때 비로소 개입의 필요성이 생기는거고. 따라서 글쓴이가 남녀임금격차가 존재하고 그것이 문제가 된다고 주장하기 위해서는 원글과 같은 내용만으로는 설득력이 없음.

익명8
2023/02/23 01:05
open comment context menu
당장 공사현장, 조선소 이런 하드한 직종만 들어가봐도 남자판인데 ㅋㅋㅋㅋ 존나 단순하게 생각하네 ㅋㅋ

익명9
2023/02/23 13:10
open comment context menu
현대차 생산직도 공업이고 멀티탭에 나사 돌리는 중소기업 라인이나 경리 직원도 공업이지.각 성별이 둘 중 어느 곳에 많이 가는지가 교란변수로 작용하고,이 차이가 생산성 문제가 아닌 성차별에서 기인하는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함.

그리고 30년 전까지만 해도 직장에 여자 있으면 잡무만 시키고 정리해고 1순위로 보던 나라에서 전체적인 임금격차를 성차별지표로 퉁치는 게 아이러니임.이전 세대의 고위직 구성비부터 다르고 연차가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