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압) 서강대 이덕환 교수의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입장

by 익명
|
냉동실
|
조회 272
|
None
2023/07/04 12:33
2023/07/04 12:33
댓글 10개
|
조회 272

익명1
2023/07/04 13:10
open comment context menu
이 교수님이 의사보다 가형과탐 잘쳤음?

익명1
2023/07/04 13:13
open comment context menu

익명1
2023/07/04 13:15
open comment context menu
난 의대 못간 사람보다 의사 선생님 말을 더 신뢰해서...

글쓴이
2023/07/04 13:21
open comment context menu
의사가 최고긴 해 ㅇㅇ

익명2
2023/07/04 13:14
open comment context menu
삼중수소에만 집중하는 건 딱 일본의 주장 방식. 방사능 물질을 걸러내는 알프스 필터가 과연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는가도 문제가 됨. 필터가 망가지면 진짜로 위험한 물질이 바다로 방류될 수 있는 건데, 오염수에는 이물질이 많아 필터를 훼손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음. 필터의 교체 및 수리 과정을 우리가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지.

글쓴이
2023/07/04 13:19
open comment context menu
필터는 당연히 상각되지만 알프스는 일회성 과정이 아니고 만족하는 수치가 나올때 까지 재순환하는 구조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닌듯. 그리고 필터 교체가 신뢰가 가지 않는거라면 위에 교수님이 말씀하신거 처럼 한국-일본 정부 간의 투명한 정보공개와 감시를 촉구하면 될 문제지, 지금처럼 방류 자체를 막을 문제가 아님

익명4
2023/07/05 14:02
open comment context menu
일본은 조금이라도 빠른 시일 내에 방류하려고 할 거고, 우리 입장에서는 위험도가 0이 아닌 이상 상당한 기간을 두고 정보공개나 감시 등 거칠 수 있는 검증절차는 다 거치고 방류여부를 결정하도록 촉구하는 게 맞다고 봄. 일단 방류해 버리면 그 후에 정보공개요구나 감시해봤자 뭐함? 이미 오염수는 해류를 타고 돌고 있는데.

그리고 단순히 안전하다 그렇지 않다 여부를 떠나 원전사고가 난 물을 방류하는 케이스가 지금까지 없던 케이슨데 일본이 그 선례를 가져가버리면 중국한테도 방사능 폐수 방류의 정당성을 주게 되고, 그렇게 되면 또 하나의 국제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있음. 정치적 파급효과도 염두에 둬야하고 단순히 케이스 하나의 안정성만을 이유로 무작정 방류를 찬성할 이유는 없다고 봄.

익명3
2023/07/05 15:26
open comment context menu
검사 다 받고 하라해 중국도

익명4
2023/07/05 15:51
open comment context menu
그니까 내말은 굳이 방류를 '찬성'할 이유는 없어보인다는거지

그리고 iaea가 일본 원전사고 터진 이후로 매년 일본이 후속조치 잘 취하고 있고 후쿠시마지방 관리도 잘 되고 있다는 식으로 보고서 냈는데 그래서 실제로 일본이 후쿠시마지역 관리 잘 하고 있냐하면 그건 아니라는거 알잖아? 거의 방치수준으로 내버려두고 있는데 ㅋㅋㅋ 세슘 수산물이니 뭐니가 아직까지 나오고 있고.

코로나 막 터졌을 때 who에서도 코로나 바이러스 자체가 큰 영향은 없을것이다라고 보고서 냈었는데 그래서 영향이 없었냐? 전 세계가 몇 년 동안 마비됐는데? 국제기구란게 기본적으로 강대국의 이권을 대변하는 정치집단화 된 지가 오랜데 그 보고서가 나왔다고 그게 뭔 물리법칙인 양 보고서 나왔으니 오염수 안전하다 사태끝 이런식으로 말하는 게 정상은 아니라고 봄.

익명3
2023/07/05 21:43
open comment context menu
대다수가 방류를 찬성하는건 아님
초거대야당이라는 놈들이 국정운영은 내팽개치고 한심하게 정치적 도구로만 써먹고. 괴담 수준의 카더라 퍼트리고 있는데 그걸 반대하는거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