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커리어
생활
족보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208012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8&aid=000331582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0&aid=0002835798




제작된 초미세간극을 갖는 금속 구조체는 우수한 물리, 광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어서 태양전지와 같은 전지(photovoltaics), 광센서/광촉매(photocatalysis), 메타 물질(metamaterials), 질병진단센서, 나노 바이오센서 개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댓글 3개
조회 1985
내닉
2015/08/03 14:23
냉동
오.. 강태욱 교수님.. 한동안 펀드도 없고 대학원생들도 많이 졸업해서 힘들어 하신걸로 알고있는데.. 이번 성공을 계기로 예전 교수 부임 초창기처럼 많은 성과 보여주셨으면 하네요!
글쓴이
2015/08/03 16:15
냉동
중앙일보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2516870
3년 내 실용화 목표
3년 내 실용화 목표
글쓴이
2015/08/03 17:33
냉동
KBS뉴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56&aid=0010204000
기존 기술보다 100배 정도 분자 검출 감도가 향상돼 더 낮은 농도의 물질을 빠르게 검출할 수 있음. 이로 인해 나노바이오 센서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
기존 기술보다 100배 정도 분자 검출 감도가 향상돼 더 낮은 농도의 물질을 빠르게 검출할 수 있음. 이로 인해 나노바이오 센서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
